SQLD 29

Part4-SQL 기본 및 활용-6.Subquery

Part4-SQL 기본 및 활용-6.Subquery분량: 1:45:38https://youtu.be/kP9kIvnSb5U?si=tVgOZb6YR4XM-0VqMAX(HEIGHT) 값 하나만 나옴 -> 단일행 서브쿼리 / 단일칼럼SELECT 뒤에 하나의 행이 오는지 여부로  서브쿼리의 결과가 1개나 0개다중행 서브쿼리일 때 =,   우측은 실패: 결과가 2개라... 하나가 2개랑 같다? 말이 안 된다좌측은 성공: 결과가 1개이기 때문에 (운이 좋아서 성공한 것)ㄴ 여러개 나올 수도 있는 쿼리이기 때문에돌려보고 RUNTIME 에러로 처리하기 때문에운좋게 1행만 나온다면, 에러없이 돌아감. 다중행비교연산자를 쓰는게 바람직하다.  위의 케이스처럼 >면 뭐랑 비교해야 할지 알수가 없음그래서 ALL / ANY / E..

Part4-SQL 기본 및 활용-5 TCL & DCL

Part4-SQL 기본 및 활용-5 TCL & DCL분량: 1:26:24https://youtu.be/AJfANpKhVAs?si=jIkuEmLQaK8jvityTCL트랜잭션은 의미적으로 분할이 안 되기 때문에, 모두 성공하거나 하나라도 틀리면 전부 실패ACID다 성공, 다 실패항상 모든 제약 조건과 규칙을 만족실행 도중 다른 트랜잭션 영향 받으면 안 된다. (내가 이체하는 사이에, 다른 사람이 이체했다고 실패하면 안 된다)지속성: 영구적으로 저장해야 한다. (이체 금액 제대로 반영되고, 영구적으로 저장되어야 한다.)연산을 수행하면, 커밋을 실행해야지 그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된다. 동일한 쿼리인데도, 결과가 달라짐T2 단계를 막아주기~  수정, 삭제는 Non-Repeatable Read삽입은 Phanto..

Part4-SQL 기본 및 활용-4.Join & Set Operation

Part4-SQL 기본 및 활용-4.Join & Set Operation분량: 2:36:42https://youtu.be/9bO7KAZ4JB4?si=VLu2lM_ZlIbdcV_J마음 급한 벼락치기하지만 이론 공부 없이 문제를 푸는건 말이 안 된다는 걸방금 기출 문제 슬쩍 열어보고 나서 느꼈다.얼른 강의 다 듣자! 조인은 SQL의 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님집합 연산은 분량이 많지 않다. 조인이 없다면 정규화 불가반정규화와는 다르다.조인은 스키마의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다.  WHERE조건이 없는 경우, ENAME 과 DNAME이 곱해져서 나옴(실제와는 상관없이) EQ (=)이 쓰이면 Equi 조인JOIN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명시나머지는 각각 배울 예정 (1) DEPTNO 는 두 테이블에 존재하기 때문에, 어..

Part4-SQL 기본 및 활용-2.DDL

Part4-SQL 기본 및 활용-2.DDL분량: 1:44:43https://youtu.be/Cv6256AkFU8?si=Qwr8sW_VBE8-ml3q이럴수가... 강의 하나 건너 띄고 들었다 ㅋㅋㅋ 다시 돌아와서 DDL 공부하기권고하는 점은 필수는 아님 *예약어: SELECT와 같은 문법 단어 반드시 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제약조건도 비슷한 조건을 충족하지만, 반드시 전체를 통 틀어서~ 다른 조건과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NUMBER 앞에 있는 자리는 전체 자리 수NUMBER(3,0) 이라면 정수로 표현 기본키는 칼럼 하나가 아니라 여러 칼럼으로 만들어져있을 수도 있음 참조 무결성 제약 옵션을 선택한다? 묵시적인 경우에는 시스템에서 임의로 지정해줌    처음에 괄호를 열고 마지막에 닫아줘야 한다.FK 지정..

Part4-SQL 기본 및 활용-3.Function

Part4-SQL 기본 및 활용-3.Function분량: 2:42:39https://youtu.be/N0DIIIshjpM?si=ry6NHaTuwOYgT3Py이제 시험까지 7일 남았다... 발등에 불이 떨어짐 화이팅! 우리가 함수라고 함은 내장함수를 칭한다.NULL 관련 함수는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서 잘 정리해두어야 한다.추가 함사 REGEXP함수(정규표현식 함수) - 개정 부분에서 추가된 부분  중첩 가능하고SELECT WHERE ORDER BY 어디서든 사용 가능빨간색으로 강조한 함수들이 특히나 자주 사용된다! 아스키 코드10진수 4와 문자 4와는 차이가 있다. 함수 중에서 10진수와 아스키 코드를 바꾸는 것도 있음. 65~90 사이는 대문자 97~122 사이는 소문자32차이가 있다. Fu가 있을 때 ..

Part4-SQL 기본 및 활용-1.Basic DML - 2

(DB실무) Part4-SQL 기본 및 활용-1.Basic DML분량: 3:15:23 (2:36:14 부터)SELECT의 경우에는 '조회'만 하지만INSERT, UPDATE, DELETE는 '테이블 구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인스턴스에는 영향을 준다.1) 일부 칼럼에만 데이터 값을2) 전체 값을2)의 경우 순서대로 입력해야 한다.값이 없는 칼럼은 NULL 또는 ''  기존 테이블 레코드 조회 후 다른 테이블 삽입ex. 회원 테이블에서 미납한 사람만 뽑아서 -> 미납자 테이블만 따로 만든다든지 INSERT ALL 은 반드시 SELECT 문 사용! SELECT * FROM DUAL을 하고 끝낸다.  빈열추가는 DDL  UPDATE PLAYER SET ROW_ID = ROWNUM; 원래 ROWNUM = ..

Part4-SQL 기본 및 활용-1.Basic DML - SELECT

(DB실무) Part4-SQL 기본 및 활용-1.Basic DML분량: 3:15:23 (~2:36:14 까지)https://youtu.be/70KY1_DblZQ?si=SWTT7AWD7zte-kuY아자아자! 이제 드디어 SQL 문 작성을 배우기 시작한다~시험이 10일 남았는데 강의는 이제 반 들었다.. 껄껄뒤의 강의들은 좀 짧은 편이니 좀만 더 힘내서 들어보자 화이팅! SQL 유형데이터 정의: 스키마를 건들인다. DDL(Data Definition Language) 조작: 인스턴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제어: 사용자 아이디 생성 등, 컨트롤 DCL(Data Control Launguage)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SQL은 일반적으로 표준..

[요약] Part3-데이터 모델과 성능

1. 성능 데이터 모델링 개요- 정규화, 반정규화, 테이블 통합 및 분할, 조인구조, PK/FK 설정 등- 빠를 수록 좋다. - 모델링 진행 순서(1) 정규화 정확하게 수행(2)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 수행(엔티티별 트랙잭션 양)(3) 데이터베이스 발생 트랙색션 유형 파악(CRUD)(4) 용량과 트랜잭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 수행(테이블/속성/관계 변경)(5) 이력모델의 조정, 인덱스를 고려한 PK/FK 순서 조정, 슈퍼타입/서브타입 조정 등 2. [복습] 관계형 데이터 모델 (Relational Data Model)- Constraints(1) 도메인 제약(2) 키 제약 (Key가 있어야 한다. 서로 식별가능해야 함)(3) 개체 무결성 제약 (PK is Unique & NOT NULL)(4) 참조 무결성..

Part3-데이터 모델과 성능

(DB실무) Part3-데이터 모델과 성능분량: 3:47:17https://youtu.be/LeHLIT7f-w0?si=HrJXon-38HpGSUz7금방금방 듣는다... 화이팅! 1. 성능 데이터 모델링 개요언제 성능을 고려? 빠를수록 좋다!ㄴ 분석/설계 단계에서 해야 비용 최소화... but 현실에서는 대충 돌아만가게 설계 해두고 나중에 문제가 커진다.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앞의 강의 내용과 중복됨)위쪽은 파일시스템/ 이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관계형: SQL에서 사용하는... 테이블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Relational database)Relation = 테이블 (1) 도메인 제약 (Domain Constraints)- 속성(..

[요약] Part2-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 데이터 모델링 개요(1) 모델링이란? 복잡한 현실세계를 추상화하여 표기- 추상화(모형화)- 단순화- 명확화 - 데이터관점(what): 데이터와 데이터 간 관계, 업무와 데이터 간 관계 모델링ㄴ How, Who는 포함되지 않는다. 2.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1) 개념적 모델링: 추상화(2) 논리적 모델링: 구체화(3) 물리적 모델링: 테이블 도출ㄴ 학계와 실무의 정의가 다름 3. 데이터 독립성- 이전의 파일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ㄴ '데이터 중복 제거' - 데이터베이스의 3단계 구조(1) 외부 스키마: 각 사용자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바라보는 스키마(2) 개념 스키마: DB 저장되는 데이터와 그들의 관계(3) 내부 스키마: 물리적으로 저장 - 독립성(1) 논리적 독립성: 외부개념(2) 물리적 ..